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8)

A.제넥스 버드맨 2
그로우업 벌브
라이트로드 드루이드 오르크스 2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3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3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2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2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2
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2
어니스트 2
저지먼트 드래곤 2
카오스 소서러 2
크리터

마법카드(10)

대한파
블랙홀
빛의 원군
솔라 익스체인지 3
싸이클론 2
죽은 자의 소생
허리케인

함정카드(2)

빛의 소집 2

사이드덱(15)

D.D. 크로우
사이버 드래곤 3
이펙트 뵐러 2
더스트 토네이도 2
사신의 대재해 2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연쇄 제외 2

엑스트라덱(15)

A.O.J 디사이브 암즈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매지컬 안드로이드
멘탈스피어 데몬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스크랩 드래곤
스타더스트 드래곤
아캐나이트 매지션
암즈 에이드


 

2008년에 출시되어 전통적인 강자였던 라이트로드입니다.(2008년 맞나?) 라이트 로드는 과거 대한파가 무제한이던 시절에 라이트로드의 기본 패시브 덱 깎는 능력으로 묘지를 쌓고 대한파로 마함을 봉쇄 저지먼트 드래곤의 한방으로 쓸어버리는 전술과, 루미나스가 무제한이라 좀비 마스터 못지않은 물량 공세로 밀어 붙히기, 어니스트 역시 무제한이라 상대 패를 예측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겹쳐 상대하기 매우 어려웠습니다.(하지만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를 맞으면 그야 말로 덱이 파괴되었다.) 그때 당시 카드들이 제재를 받아 이런 형태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라이트로드는 오랫동안 강자로 군림한 만큼 여러 가지 형태가 존재했습니다. 2010년에는 좀비 캐리어와 어우러져 싱크로 소환을 하는 형태, 최강의 사기 카드 다크 암드와 라이트로드가 합쳐진 형태가 생각나네요.

과거 라이트로드의 패시브 때문에 덱의 분량을 44, 42장으로 덱의 용량이 많아야 한다고 생각했으나, 원하는 묘지 자원, 패에 서치하기 위해서 라이트로드 역시 40장의 덱을 선호하게 되어 속공 메타에 합류하게 됩니다. (초기 라이트로드 덱에는 탐욕의 항아리를 많이 채용했으나 속공에 어울리지 않고 묘지 자원을 소비한다는 점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버드맨의 존재가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는데 몬스터를 패로 되돌리는 효과로 다양한 전술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어 선택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