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6)

BF-극북의 블리자드 3
BF-달그림자의 카르트 3
BF-대패의 바유 3
BF-새벽의 시로코 3
BF-질풍의 게일
BF-푸른 화염의 슈라 3
BF-흑창의 블래스트 3
네크로 가드너 2
다크 그래퍼 3
다크 암드 드래곤
좀비 캐리어

마법카드(12)

검은 선풍 3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크론
어둠의 유혹 2
이차원에서의 매장 3
증원
태풍

함정카드(2)

격류장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사이드덱(15)

D.D.크로우 2
스노우맨 이터 3
트랩 이터 2
델타 크로우 -안티 리버스- 3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스타라이트 로드 2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BF-고고한 실버 윈드
BF-아머드 윙 2
BF-암즈 윙 2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최근 덱레시피를 안 올린지 너무 오래됐군요. 묘지 BF 처음 대패의 바유가 나왔을 때 다크 다이브 봄버를 이용한 원턴각을 뽑아내서 사기다라는 얘기가 많았고 바유 1킬덱이라 불렸지만 다크 다이브 봄버가 금지를 먹었고, 다른 보조 카드들이 등장함에 따라 물량으로 압박하는 덱입니다.

선풍 BF의 경우 견제 카드가 많아 좋은 밸런스로 게임을 전개한다면 이건 닥치고 전개 물량이란 느낌이 강하네요. 근데 이 덱은 2011버전에서 이차원에서의 매장이 제한을 먹는 바람에 압도적인 물량 전개가 크게 타격을 받고, 안정감이 떨어져 일반 BF를 더 선호하게 되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0)

BF-극북의 블리자드 3
BF-달그림자의 카르트 3
BF-대패의 바유 3
BF-새벽의 시로코 3
BF-질풍의 게일
BF-푸른 화염의 슈라 3
BF-흑창의 블래스트 3
다크 암드 드래곤

마법카드(11)

검은 선풍 3
달의 서 3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2
태풍

함정카드(9)

갓버드 어택 3
격류장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신의 심판
왕궁의 탄압 2

사이드덱(15)

D.D. 크로우 2
스나이프 스토커
스노우맨 이터 3
트랩 이터 2
대한파
정신조작
델타 크로우 -안티 리버스 3
스타라이트 로드 2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BF-고고한 실버 윈드
BF-아머드 윙 2
BF-암즈 윙 2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BF 페더의 전성기 시절의 덱 2010버전입니다. 킨테레는 대규모 너프를 먹고, 검투수는 베스트로리가 제한 먹고 언데드 싱크로도 너프 결국 코나미의 칼날을 피한 건 라이트로드와 블랙 페더 뿐 물론 검투수도 콩라인을 지키며 틈틈히 대회 성적을 거뒀으나 블랙 페더와 라이트 로드가 0티어이기에 살짝 모자른 감이 있죠.

선풍 BF라고 지어서 왠지 선풍을 3장 풀 투입했는데 사실 선풍이 2장 넣고 다른 견제 카드를 많이들 넣었습니다만 왠지 선풍이 무제라는 이점을 크게 이용하고 싶어서 3장 넣었는데, 선풍이 좋은 효과임에도 3장을 넣지 않는 이유는 선풍의 효과를 최대로 활용하는 카드는 시로코나 슈라 뿐이고 그나마 블래스트도 특수 소환이 더 선호되서 생각보다 활약하는 카드는 아닙니다.

또 탄압이 2장 들어 있는데 탄압 2장을 쓴다는 거부터 상당한 컨트롤이 요구되서 사실 이전에 올린 언데 로드보다 운용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강덱이라는 사실만 기억하시고 찾으신 분들은 잘 쓰시길 바랍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17)

X-세이버 에어벨룬 2
검투수 다리우스
검투수 라크엘 2
검투수 레티어리
검투수 물미로
검투수 베스트로리
검투수 샘나이트 2
검투수 에퀴테 3
검투수 호프롬스
레스큐 캣
슬레이브 타이거 2

마법카드(9)

검투 훈련소 3
달의 서 3
대지분쇄
싸이클론
태풍

함정카드(14)

검투수의 전차 2
격류장
나락의 함정 속으로 2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마궁의 뇌물 3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신의 심판
차원 유폐 3

사이드덱(15)

사이버 드래곤
차원의 틈 3
트위스터 3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스타라이트 로드 2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검투수 가이재러스 2
검투수 헤라클레이노스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A.O.J 카타스톨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네츄르 비스트
네츄르 팔키온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오룡즈 월챔 시리즈는 총 3가지인데 그 3종류의 시리즈에서 항상 강덱으로 등장하는 덱이 라이트로드와 검투수입니다. 전통적인 강자지만 문제는 매번 그것보다 강한 덱이 등장해서 밀려버리는 비운의 2인자 라인이지만 2010버전에서는 라이트로드의 최전성기를 구현하였지만 검투수는 그렇지 못해 더 아쉬운 덱입니다. ㅠㅠ

2010버전과 2011버전을 비교해 보시면 레스큐 캣이 금지 먹어 슬레이브 타이거나 싱크로 운용에 변경이 생겼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력 전술 자체는 크게 바뀌지 않았으니 그만큼 코나미가 검투수에 대해선 어느정도 관대함을 보였다 정도로 해석할 수 있겠네요.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7)

A.제넥스 버드맨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드루이드 오르크스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2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2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어니스트
저승사자 고즈
저지먼트 드래곤 2

마법카드(9)

대한파
빛의 원군 3
솔라 익스체인지 3
싸이클론
태풍

함정카드(2)

왕궁의 포고령 2

사이드덱(15)

번개왕 3
스노우맨 이터 3
허리케인
사신의 대재해 2
썬더 브레이크 3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라이트엔드 드래곤
매지컬 안드로이드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2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아캐나이트 매지션
암즈 에이드


이전 블로그에 올리려다 말았던 2010 버전 라이트로드 덱입니다.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10 언데드 로드덱

메인덱(40) 몬스터(23) 고블린 좀비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

ham9301.tistory.com

이것과 비교를 하면 좀더 라이트로드의 본질에 가까운 덱으로 빛의 원군 무제한에 루미너스 무제한이라는 점에서 라이트로드 최전성기이기 때문에 굳이 싱크로가 없어도 빠른 전개로 경쟁력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재미적인 부분이 언데드 로드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공격 옵션이 더 추가가 되었기 때문이죠.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18)

다크 그레퍼
다크 암드 드래곤
데스트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 3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2
심해의 디바 3
엘리멘트 히어로 에어맨
저승사자 고즈
정크 워리어
좀비 캐리어
크레본스 3
크리터

마법카드(16)

긴급 텔레포트
데스트니 드로우 3
미래 융합
미라클 퓨전 2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크론
어둠의 유혹 2
인스턴트 퓨전 2
증원
태풍
허리케인

함정카드(6)

격류장
나락의 함정 속으로 2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신의 심판

사이드덱(15)

빙제 뫼비우스 3
영멸술사 카이쿠 3
금지된 성배 2
정신조작
크로스 소울 3
왕궁의 포고령 3

엑스트라덱(15)

레어 피시
엘리멘틀 히어로 세일러맨
엘리멘틀 히어로 앱솔루트 ZERO 2
음악의 신
A.O.J 카타스톨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엔드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아캐나이트 매지션


이전에 소개해드린 2009 최강덱 SDL이 너프를 맞고 변형된 덱입니다.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09 킨테레 담드 SDL(슈퍼드로라이다)덱

메인덱(40) 몬스터(16) D.D.크로우 2 다크 그레퍼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엘리멘트 히어로 에어맨 크레본스 3 크리터 마법카드(16)

ham9301.tistory.com

 

융합과 싱크로를 섞은 신박한 덱이란 평가와 함께 상당히 괴랄한 콤보로 동시에 악명을 떨쳤죠. 디아볼릭 가이와 심해의 디바로 스타더스트를 소환 후 미라클 퓨전으로 앱솔루트 제로를 소환. 이로서 상대는 어설픈 대응을 할 수 없게 되었고, 상대의 어설픈 대응은 곧바로 반격으로 이어지는 덱입니다.

문제는 당시 이 덱의 강력함에도 불구하고, 라이트 로드의 미칠 듯한 전개가 서로 어설픈 대응으로 이어지지 않아 서로 치고 박고 싸우면 개판이 되다가 결국엔 패 잘잡히는 쪽이 이기는 건데 그게 주로 묘지 자원을 잘 활용하는 라이트로드 쪽이었습니다. 2010 출시 당시 대회 성적들을 찾아보니 디바제로보다 라이트로드가 더 눈에 띄더군요.

728x90
그리드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