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1)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데스트니 히어로 둠 가이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스크 가이
데스트니 히어로 블루-D 3
라이드 앤드 다크니스 드래곤 3
바람 제왕 라이저 3
신수왕 바르바로스 3
엘리멘트 히어로 에어맨
영혼을 깎는 사령
저승 사자 고즈
크리터
황천 개구리

마법카드(15)

데스트니 드로우 3
봉인의 황금궤
성급한 매장
세뇌 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리석은 매장 2
증원 2
태풍
트레이드 인 2
희생양

함정카드(4)

격류장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사이드덱(15)

D.D. 크로우 3
마도전사 브레이커
사이버 드래곤
스나이프 스토커
대한파 3
허리케인
더스트 토네이도 3
사신의 대재해 2

융합덱(3)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과거 사당 듀얼몰 시절 페가소스(심규성) 형님이 만드셨던 데스트니 라이다 덱입니다. (그 땐 블로그에 둠즈데이라고 명명하셨다)

메인덱은 그 분이 만든거고 사이드덱은 제가 만든 거고요. 데스트니 라이다는 과거 GX시절을 지배했던 덱입니다. 초기에는 디아볼릭 가이가 무제였으나 준제가 되고 디스크 가이도 제한이 되어 너프가 되나 싶었는데 죽지않고 다크 암드가 등장하기 전까진 제왕덱과 함께 최강이라 부르는 덱이었습니다.

그 시절에는 지금처럼 특수소환이 많고 전개를 몰아붙히는 경우는 거의 없었기 때문에 라이다가 등장하면 처리하는데 굉장히 애를 먹었고, 없앴다고 한들 묘지에서 디스크 가이 같은게 튀어 나와 패를 보충하고 풍제같은 강력한 카드가 괴롭히니 포켓몬으로 치면 4세대 한카리아스급이라고 봐도 무방했습니다. 그나마 여기에 비빌 수 있었던 것은 빠른 전개를 자랑하는 디 블레이드나 극강의 효율 제왕덱이었는데, 일본의 한 괴짜 유저가 이 덱을 저격하기 위한 덱을 만들어 우승하기도 했습니다.

옛날에는 한글판으로 라이다나 에어맨 고즈 디드로 등이 안나와서 한글판 최강은 제왕, 일판은 라이다였는데 당시 에어맨이나 디스크 가이가 비싸서 이렇게 게임상으로나마 즐겼던게 행복했던 시절이 있었죠. ㅎㅎ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0)

BF-극북의 블리자드 3
BF-달그림자의 카르트 3
BF-대패의 바유 3
BF-새벽의 시로코 3
BF-질풍의 게일
BF-푸른 화염의 슈라 3
BF-흑창의 블래스트 3
다크 암드 드래곤

마법카드(11)

검은 선풍 3
달의 서 3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2
태풍

함정카드(9)

갓버드 어택 3
격류장
리빙 데드가 부르는 소리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신의 심판
왕궁의 탄압 2

사이드덱(15)

D.D. 크로우 2
스나이프 스토커
스노우맨 이터 3
트랩 이터 2
대한파
정신조작
델타 크로우 -안티 리버스 3
스타라이트 로드 2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BF-고고한 실버 윈드
BF-아머드 윙 2
BF-암즈 윙 2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BF 페더의 전성기 시절의 덱 2010버전입니다. 킨테레는 대규모 너프를 먹고, 검투수는 베스트로리가 제한 먹고 언데드 싱크로도 너프 결국 코나미의 칼날을 피한 건 라이트로드와 블랙 페더 뿐 물론 검투수도 콩라인을 지키며 틈틈히 대회 성적을 거뒀으나 블랙 페더와 라이트 로드가 0티어이기에 살짝 모자른 감이 있죠.

선풍 BF라고 지어서 왠지 선풍을 3장 풀 투입했는데 사실 선풍이 2장 넣고 다른 견제 카드를 많이들 넣었습니다만 왠지 선풍이 무제라는 이점을 크게 이용하고 싶어서 3장 넣었는데, 선풍이 좋은 효과임에도 3장을 넣지 않는 이유는 선풍의 효과를 최대로 활용하는 카드는 시로코나 슈라 뿐이고 그나마 블래스트도 특수 소환이 더 선호되서 생각보다 활약하는 카드는 아닙니다.

또 탄압이 2장 들어 있는데 탄압 2장을 쓴다는 거부터 상당한 컨트롤이 요구되서 사실 이전에 올린 언데 로드보다 운용이 어렵습니다. 그러나 강덱이라는 사실만 기억하시고 찾으신 분들은 잘 쓰시길 바랍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7)

A.제넥스 버드맨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드루이드 오르크스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2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2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어니스트
저승사자 고즈
저지먼트 드래곤 2

마법카드(9)

대한파
빛의 원군 3
솔라 익스체인지 3
싸이클론
태풍

함정카드(2)

왕궁의 포고령 2

사이드덱(15)

번개왕 3
스노우맨 이터 3
허리케인
사신의 대재해 2
썬더 브레이크 3
어둠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엔드 드래곤
라이트엔드 드래곤
매지컬 안드로이드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빙결계의 용 트리슈마 2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아캐나이트 매지션
암즈 에이드


이전 블로그에 올리려다 말았던 2010 버전 라이트로드 덱입니다.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10 언데드 로드덱

메인덱(40) 몬스터(23) 고블린 좀비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

ham9301.tistory.com

이것과 비교를 하면 좀더 라이트로드의 본질에 가까운 덱으로 빛의 원군 무제한에 루미너스 무제한이라는 점에서 라이트로드 최전성기이기 때문에 굳이 싱크로가 없어도 빠른 전개로 경쟁력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재미적인 부분이 언데드 로드가 더 뛰어나다고 생각합니다. 공격 옵션이 더 추가가 되었기 때문이죠.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3)

고블린 좀비 3
네크로 가드너 2
다크 그래퍼 3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마두귀 3
좀비 마스터
좀비 캐리어 2
크레본스 3
크리터

마법카드(15)

긴급 텔레포트 3
생환의 패 2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리석은 매장 2
이차원에서의 매장 2
죽은 자의 소생
태풍

함정카드(2)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사이드덱(15)

D.D.크로우 3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스나이프 스토커
생자의 서-금단의 주술-3
이차원에서의 매장
더스트 토네이도 3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2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다이브 봄버
다크엔드 드래곤
미스틱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소생 마왕 하데스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유희왕 월드 챔피언쉽 2009 언데드 싱크로덱

메인덱(40) 몬스터(21) 고블린 좀비 2 다크 그래퍼 3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마두귀 3 좀비 마스터 3 좀비 캐리어 2 종말의 기사 2 트라고에디아 2 마법카드(14) 봉인의

ham9301.tistory.com

이전에 올린 덱에서 좀 더 공격적인 전개를 위해 긴급텔레포트를 넣은 덱입니다.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09 킨테레 담드 SDL(슈퍼드로라이다)덱

메인덱(40) 몬스터(16) D.D.크로우 2 다크 그레퍼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엘리멘트 히어로 에어맨 크레본스 3 크리터 마법카드(16)

ham9301.tistory.com

약간 이덱과 섞은 느낌이 있긴 합니다.

크레본스 한장 빼고 사이코 커맨더를 넣으면 다크다이브 봄버로 조금 더 결정력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안티 리버스 카드가 부족하지만 어차피 게임 내 npc들 한정으로 무쌍을 찍을 수 있기 때문에 상관없고 과거에도 이런 식의 언데드+긴급텔레포트가 우승을 하기도 했으니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취사 선택을 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처음으로 이전 블로그에서 퍼온 덱 말고 새로운 덱을 올렸네요. 블로그가 성장해서 제 월급만큼 수익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1)

고블린 좀비 2
다크 그래퍼 3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마두귀 3
좀비 마스터 3
좀비 캐리어 2
종말의 기사 2
트라고에디아 2

마법카드(14)

봉인의 황금궤
생환의 패 2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3
어리석은 매장 2
이차원에서의 매장 2
죽은 자의 소생
태풍

함정카드(5)

격류장
봉황날개의 폭풍 2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사이드덱(15)

D.D.크로우 3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스나이프 스토커
생자의 서-금단의 주술-3
이차원에서의 매장
더스트 토네이도 3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2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다이브 봄버
다크엔드 드래곤
미스틱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소생 마왕 하데스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2009시절 SDL와 쌍벽을 이루던 최강덱 언데드 싱크로입니다. 당시 SDL의 파격적인 전개와 패효율을 보여줬다면 언데드는 살짝 퍼포먼스가 떨어지는 느낌이 들긴 합니다만, 묘지 자원을 상당수 활용한다는 점에서 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한 플레이가 가능했고 패만 잘 잡힌다면 SDL에 밀리지 않는 전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SDL로 대원 대회 출전 경험이 있어서인지 SDL에 더 애착이 갑니다. 이 덱도 다음 코나미의 금제의 칼날을 맞았지만 라이트로드와 합쳐진 형태로 2010버전을 주름 잡게 됩니다. 링크 참고 해주세요.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10 언데드 로드덱

메인덱(40) 몬스터(23) 고블린 좀비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

ham9301.tistory.com

생각해보면 이 덱이 사기였던 부분이 스타더스트 +생환의 패 때문에 함부로 파괴 효과를 쓸 수도 없었고(쓰면 무효되고 상대가 드로우) 좀비마스터 + 생환의 패의 물량 전개에 상당히 고전할 수 밖에 없는 덱이었는데 이 덱과 호각을 벌였던 SDL은 정말 제 짧은 듀얼 역사상 가장 인상 깊은 덱이란걸 상기시켜 줍니다.

728x90
그리드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