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1)

고블린 좀비 2
다크 그래퍼 3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마두귀 3
좀비 마스터 3
좀비 캐리어 2
종말의 기사 2
트라고에디아 2

마법카드(14)

봉인의 황금궤
생환의 패 2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3
어리석은 매장 2
이차원에서의 매장 2
죽은 자의 소생
태풍

함정카드(5)

격류장
봉황날개의 폭풍 2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죽음의 덱 파괴 바이러스

사이드덱(15)

D.D.크로우 3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스나이프 스토커
생자의 서-금단의 주술-3
이차원에서의 매장
더스트 토네이도 3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2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다이브 봄버
다크엔드 드래곤
미스틱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소생 마왕 하데스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암즈 에이드


2009시절 SDL와 쌍벽을 이루던 최강덱 언데드 싱크로입니다. 당시 SDL의 파격적인 전개와 패효율을 보여줬다면 언데드는 살짝 퍼포먼스가 떨어지는 느낌이 들긴 합니다만, 묘지 자원을 상당수 활용한다는 점에서 상황에 따라, 보다 유연한 플레이가 가능했고 패만 잘 잡힌다면 SDL에 밀리지 않는 전개를 보여주기도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SDL로 대원 대회 출전 경험이 있어서인지 SDL에 더 애착이 갑니다. 이 덱도 다음 코나미의 금제의 칼날을 맞았지만 라이트로드와 합쳐진 형태로 2010버전을 주름 잡게 됩니다. 링크 참고 해주세요.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10 언데드 로드덱

메인덱(40) 몬스터(23) 고블린 좀비 2 네크로 가드너 3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2 라이트로드 몽크 에이린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너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라이

ham9301.tistory.com

생각해보면 이 덱이 사기였던 부분이 스타더스트 +생환의 패 때문에 함부로 파괴 효과를 쓸 수도 없었고(쓰면 무효되고 상대가 드로우) 좀비마스터 + 생환의 패의 물량 전개에 상당히 고전할 수 밖에 없는 덱이었는데 이 덱과 호각을 벌였던 SDL은 정말 제 짧은 듀얼 역사상 가장 인상 깊은 덱이란걸 상기시켜 줍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1)

BF-질풍의 게일 2
X-세이버 에어벨룬 3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 코알라 3
레스큐 캣 2
묘지기의 정찰자 3
묘지기의 파수병
소환승 서몬 프리스트 2
저승사자 고즈
코알랏코
크리터

마법카드(17)

달의 서 2
대한파 3
세뇌-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3
정신조작 2
죽은 자의 소생
탐욕의 항아리 3
태풍

함정카드(2)

격류장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사이드덱(15)

D.D. 크로우 3
정신조작
더스트 토네이도 3
사신의 대재해 2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왕궁의 포고령 3

엑스트라덱(15)

A.O.J 카타스톨
BF-아머드 윙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2
네츄르 비스트
다크 다이브 봄버
미스틱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스타더스트 드래곤
아캐나이트 매지션 2
암즈 에이드


AKB 아캐나이트 비트 덱 즉 과거 캣담드라 불린 덱입니다. 초기 싱크로는 레스큐 캣의 재발견으로 레벨 5~6의 싱크로 몬스터를 소환 묘지 자원 확보, 다크 암드 드래곤으로 이어졌는데, 그 당시 성급한 매장이 제한이라 암즈홀로 성급한 매장을 회수 레스큐캣 싱크로 콤보로 듀얼판을 초토화 시켰습니다.
그래서 레스큐 캣, 다크 암드가 제한 될 거라 예상했지만, 준제한으로 그치고 성급한 매장을 금지시킴으로서 과거의 무한 소환을 억제했고, 디아볼릭가이를 중심으로한 SDL 킨테레 담드가 기승을 부렸죠. (이전 덱 링크 참고)

 

유희왕 월드챔피언쉽 2009 킨테레 담드 SDL(슈퍼드로라이다)덱

메인덱(40) 몬스터(16) D.D.크로우 2 다크 그레퍼 다크 암드 드래곤 2 데스트니 히어로 다이아몬드 가이 2 데스트니 히어로 디아볼릭 가이 3 엘리멘트 히어로 에어맨 크레본스 3 크리터 마법카드(16)

ham9301.tistory.com

이 때 증원이 무제한으로 풀린 게 또 굉장히 컸죠. ㄷㄷ
아무튼 이 덱은 제재를 먹음과 킨테레 담드의 무서운 성능에 의해 묻혀지는 듯 했으나 다음 금제에서 코나미의 칼날을 맞은 킨테레 담드의 몰락과 제재를 거의 받지 않은 점에서 다시 비상하게 됩니다. 왕좌를 되찾고 대회 우승을 휩쓸기 시작했거든요.
덱의 형태가 굉장히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저는 데스 코알라를 채용했지만 네오스페이시언 블랙 펜서로 다른 전술적인 효과를 노릴 수 있고, 에어벨룬과 울벨룸으로 패를 털어먹고 봉쇄를 함과 동시에 주력카드인 아캐나이트 매지션으로 필드를 털고 마지막으로 다크 다이브 봄버로 마무리하여 결정력을 높혀주는 덱입니다.
이 덱도 인게임에서 상당한 재미가 있는 덱이었으니 잘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19)

BF-새벽의 시로코 3
BF-질풍의 게일 3
BF-흑창의 블래스트 3
D.D 크로우 2
다크 암드 드래곤 2
사이코 커맨더 2
저승사자 고즈
크레본스 3

마법카드(19)

갑부 고블린 3
긴급 텔레포트 3
대한파 3
봉인의 황금궤
세뇌 -브레인 컨트롤-
싸이클론
어둠의 유혹 3
정신 조작
죽은 자의 소생
태풍
허리케인

함정카드(2)

격류장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사이드덱(15)
영멸술사 카이쿠 2
갓 버드 어택 3
더스트 토네이도 3
사신의 대재해 2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썬더 브레이크 2

엑스트라덱(15)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A.O.J 카타스톨
BF-아머드 윙 2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다이브 봄버
다크엔드 드래곤
미스틱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스타더스트 드래곤
아캐나이트 매지션


질풍의 게일이 3장??인 2009 버전의 BF덱입니다. 이 때는 BF가 처음 출시 된 때라 싱크로도 아머드 윙 뿐이고 보조 카드도 없었죠. 이 덱 리스트는 예전에 어느 대회에서 우승한 덱 리스트 였는데 출처가 어디였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그 리스트를 게시한 블로그가 잠시 불미스러운 일로 폭파해서....) 사이드도 제가 필요한 거 넣은 거라 정확하지 않아요.
패효율은 SDL에 비해 떨어지지만 당시의 메타였던 D.D.크로우의 견제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에서 경쟁력이 있어 우승했던 것 같습니다. 이후 크로우가 오룡즈의 주역으로 활약하면서 BF덱은 한 층 더 날아오르게 되죠. 물론 너프도 받고요.
당시의 메타였던 고속 덱 압축에 적응하기 위해 어둠의 유혹만으론 한계를 느끼고 갑부 고블린이 투입되었는데 물량 전개나 다크 다이브 봄버를 자주 소환하는 상황이 많아 결정력은 상당히 높습니다.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19)

X-세이버 에어벨룬 2
검투수 다리우스
검투수 라크엘 2
검투수 물미로
검투수 베스트로리 3
검투수 샘나이트 2
검투수 에퀴테 3
검투수 호프롬스
레스큐 캣 2

스피드 스펠(3)

SP-달의 서

함정카드(18)
검투수의 전차 3
격류장
나락의 함정 속으로 2
더스트 토네이도 2
마궁의 뇌물 3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신의 심판 3
차원유폐 3

사이드덱(15)

BF-질풍의 게일 3
D.D.크로우 2
네오 스페이시언 그랜드 몰
사이버 드래곤
엘리멘트 히어로 플리즈마 2
SP-트위스터 3
갓버드 어택 3

엑스트라덱(15)

검투수 가이재러스 2
검투수 헤라클레이노스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A.O.J 카타스톨
BF-아머드 윙
고요우 가디언 2
네츄르 비스트
다크 다이브 봄버
미스트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2
스타더스트 드래곤


2009 버전의 라이딩덱입니다. 덱 구성을 보면 2009 버전에서는 Sp의 부과효과가 없어서 사용하기 어려운 스피드스펠을 굳이 써야 하나하는 고민이 있었고 당시 스피드스펠들의 SP요구 수치를 보면 이건 쓰지 말라 할 정도로 쓰레기같은 효율이라 차라리 얘네 안쓰는게 낮다고 판단하여 그 당시 메타를 주름 잡고 함정카드의 비율이 가장 높은 덱을 선정 사실상 2009버전 라이딩덱의 유일신이라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코나미가 이때 뭔가 아차 싶었는지 스피드 스펠2로 만들어 기존에 필요한 SP 요구치를 줄여주었는데 2009 버전은 정말 최악이다 싶을 환경이라 사이코 쇼커나 왕궁의 포고령을 사용하면 함정이 봉인 되기에 사이코 쇼커를 견제하기 위해 사이드덱에 사이버 드래곤을 넣었습니다.
2009 버전의 라이딩 덱은 이거 말고 쓸 만한게 없는데 아쉽군요. 사실 제왕덱도 있는데 제왕덱이 검투수한테 카운터 당하기 딱 좋거든요.

728x90
그리드형
728x90
728x170

메인덱(40)

몬스터(26)

라이트로드 매지션 라일라 3
라이트로드 비스트 울프 3
라이트로드 서머너 루미나스 3
라이트로드 엔젤 케루빔 2
라이트로드 워리어 가로스 2
라이트로드 파라딘 제인 2
라이트로드 헌터 라이코 2
어니스트 3
저지먼트 드래곤 2
좀비 캐리어 2
카드 트루퍼
크리터

마법카드(14)

대한파 3
솔라 익스페인지 3
싸이클론
죽은 자의 소생
죽은 자의 환생 3
탐욕의 항아리 3
태풍

사이드덱(15)

번개왕 3
사이버 드래곤
더스트 토네이도 3
사신의 대재해 2
섬광을 흡수하는 마법 거울 3
왕궁의 포고령 3

엑스트라덱(15)

키메라테크 포트리스 드래곤
A.O.J 카타스톨
BF-아머드 윙
X-세이버 울벨룸
고요우 가디언
기간테크 파이터
다크 다이브 봄버
미스트 우움
블랙 로즈 드래곤
빙결계의 용 브류나크
스타더스트 드래곤 2
아캐나이트 매지션 2
암즈 에이드


2008년 말부터 전통적인 강자로 군림했던 라이트로드 덱입니다. 초기 라이트로드는 데스트니 라이다, 제왕덱이 지배하던 판을 깨는 덱으로 라이다의 소환 기점을 내주지 않는 전개, 소환 시에요 쉽게 제압하는 성능으로 많은 파란을 일으켰습니다. 그래서 출시 했을 때 데스트니 라이다와 제왕덱 투톱이 아닌 라이트로드, 담드덱이 투톱이었고 이윽고 검투수 가이재러스의 등장으로 삼파전을 벌이게 됩니다.

당시 몽크나 빛의 원군이 없었음에도 덱의 빠른 압축이 가능했고 탐욕의 항아리로 장기전을 대비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 덱의 더 무서운 점은 대한파+저지먼트 드래곤이라는 사기적인 콤보였습니다. 정말 말 그대로 당하면 손 놓고 당하고 데미지도 겁나 쎘습니다.

하지만 그 전성기는 싱크로가 등장하면서 몰락했는데, 사실 몰락이라 하기에는 여전히 좋은 성능을 과시했지만 레스큐 캣을 이용한 싱크로 전개를 이용한 캣담드와, 캣담드가 너프 되었지만 이전에 올린 SDL의 사기적인 전개와 패 효율에 당시 환경에서는 검투수와 더불어 콩라인, 2인자 신세였네요. 하지만 다음에 출시된 2010 버전에서는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됩니다.

728x90
그리드형

+ Recent posts